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1급/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조사, 과학철학 이론 요약(연역법, 귀납법)

by Nanum.E 2021. 7. 20.
728x90
반응형
SMALL

1. 과학적 조사

(1) 연역법

- 일반적인 사실이나 법척으로부터 구체적인 사실이나 법칙을 추론해 내는 방법

-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형성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방법

- 전통적인 과학적 조사의 방법

-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

-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

- 이론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을 거치는 접근방법 

 

(2) 귀납법

- 개별적인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으로 전개해 나가는 논리적 과정

- 현상을 관찰하고서 이론을 형성하는 방법

-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사실들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하는 것

- 연구주제는 조사자가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관심분야나 문제를 인식하는 차원에서 출발

- 관찰 → 검증 → 경험적 일반화 → 이론

 

(3)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관계

- 상호 보완적 관계

 

2. 과학철학 이론

(1) 귀납주의

- 16세기 베이컨(F.Bacon)의 귀납주의

- 특정한 사례를 실험하고 관찰함으로서 공통적인 것을 찾아내어 일반적인 것을 추론하고 이에 관한 법칙과 이론을 형성할 수 있는 귀납법 중시

-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 실험하는 것만이 정확한 지식을 얻고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

 

(2) 연역주의

- 17세기 데카르트(R.Descartes)의 연역주의

- 논리적 추론을 통해 일반적인 전제로부터 결론을 유도해내는 연역법 중시

- 보편적이거나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가설을 형성하여 경험적 관찰을 통해 가설을 검증함으로서 과학이 발전한다고 주장

 

(3) 논리적 실증주의

- 카납(Carnap)에 의한 논리적 실증주의는 과학적인 증명을 중요시하여 초월적인 사고방식을 부정하고 진리는 검증으로 확인되었을 때만이 참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 현상에 대한 확인과정은 귀납적인 추론에 근거하여 확률적으로 검증하고, 그러한 검증을 거쳤을 때 정당화된다고 주장. 즉 검증결과 확인된 사실은 임시 결론으로 간주하고 그 현상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을 하게 되며, 이러한 관찰이 누적되면 임시 결론에 대한 확률적인 지지도가 높아지게 된다.

- 이론은 관찰을 통해 검증되어야 정당화 될 수 있으면 그러한 방식으로 추론 된 이론만이 유의미하다는 것

 

(4) 논리 경험주의

- 과학적 이론들은 '확률적으로 검증되는 관찰'에 의해서만 정당화 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경험적 검증 과정을 거쳐 진리로 발전된다고 주장함

- 진리의 확인 : 경험을 바탕으로 구축된 가설이 추가적인 관찰에 의해서 실증적으로 검증됨으로서 이론이 진리로 확인되는 의미

- 논리경험주의는 논리 실증주의에 비해 검증가능성 또는 확증가능성의 기준에 대해 관대한 입장이지만 이론은 검증을 통해 정당화 될 수 있다는 같은 입장

- 한계점 : 소수의 관찰에 의해 논리적 판단을 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관찰수행자의 주관에 의한 측정오류를 배제할 수 없음.

 

(5) 반증주의

- 포퍼(K.popper)의 반증주의는 '과학은 진리추구의 과정'

- 과학은 기존의 이론과 상충되는 현상을 관찰하는 데서 출발하여 기존의 이론에 엄격한 검증을 행함

- 즉 기존 이론의 모순에 대한 계속적인 반증과정을 통해 과학적 검증이 이루어 짐

- 이론이나 가설이 하나의 예외로 반증되는 연역법에 의존

 

(6) 과학적 혁명

- 토마스 쿤(Tpmas. Kuhn)은 정상과학과 과학혁명을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 쿤(T.S.Kuhn)은 논리경험주의와 반증주의가 제시한 과학적 방법의 불변적인 기준과 누적적인 진보를 부정하면서 역사적 사실들과 더 잘 부합하는 이론을 제시하기 위해 새로운 과학관 제시

- 쿤(T.S.Kuhn)의 과학환의 특징

○ 과학진보는 혁명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 과학자 공동체의 사회적 성격이 과학적 이론선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 과학적 이론선택이 과학자 집단의 공동체 의식에 의해 결정

 

* 패러다임의 정의

- 사회현상을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시각 또는 정신적 창문

- 어떤 현상을 보는 시각을 형성하는 기본적 틀이나 구조를 의미

- 패러다임은 인간이 사물과 현상을 관찰하는데 있어 공통적으로 가지는 '인식체계' 또는 '인식의 틀'을 의미함

 


도움이 될 만한 관련 글∇∇∇

 

측정 및 조작적 정의 개념

1. 측정 1) 측정의 개념 ① 측정(measurement) • 이론적 개념을 계량화하는 작업 • 질적 개념을 양적 개념으로 전환하는 체계적. 과학적 개념 ② 변수(variables) •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 수학적 정

nnwel.tistory.com


 

좋아요구독은 글을 쓰는 힘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