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복지사 1급21

과학적 조사, 과학철학 이론 요약(연역법, 귀납법) 1. 과학적 조사 (1) 연역법 - 일반적인 사실이나 법척으로부터 구체적인 사실이나 법칙을 추론해 내는 방법 -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형성한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방법 - 전통적인 과학적 조사의 방법 -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 -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 - 이론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을 거치는 접근방법 (2) 귀납법 - 개별적인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으로 전개해 나가는 논리적 과정 - 현상을 관찰하고서 이론을 형성하는 방법 -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사실들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하는 것 - 연구주제는 조사자가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관심분야나 문제를 인식하는 차원에서 출발 - 관찰.. 2021. 7. 20.
측정 및 조작적 정의 개념 1. 측정 1) 측정의 개념 ① 측정(measurement) • 이론적 개념을 계량화하는 작업 • 질적 개념을 양적 개념으로 전환하는 체계적. 과학적 개념 ② 변수(variables) •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 수학적 정의 : 일정한 범위의 값 중에서 어떤 값이라도 취할 수 있는 개념 ③ 속성 (attribute) • 변숫값(values) • 변수를 구성하는 개념 • 예 : 성별의 속성은 남자와 여자, 계급의 속성은 자본가와 노동자, 직업의 속성은 전문직, 사무직, 농민, 도시 자영업자 2) 변수 ① 독립변수 •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② 종속변수 • 독립변수의 값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수(의존 변수) • 예 : 소득이 교육수준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면, 교육수준이 독립변수. 소득이 종속변수 ③.. 2021. 7. 20.
사회복지사 1급 인행사 요약 정리 1.인간발달의 원리 - 상부에서 하부로, 중심에서 말초로 발달 - 전 생애를 통해 발달(연속성) - 이전 발달을 토대로 다음 단계 발달(점성원리) - 개인차 존재 - 결정적 시기 존재 - 분화와 통합의 과정 2. 인간발달의 특성 - 적기성 : 발달의 과정에서 결정적 시기가 있으며, 그 시기를 농치면 다음 시기에 보충될 수 없다, - 기초성 : 인간발달의 과업이 대부분 초기에 이루어짐. - 불가역성 : 어떤 특정시기 잘못된 발달이 이루어지면 이후 교정, 보충하는데 한계가 있다. - 누적성 : 유아의 성장, 발달에 결손이 생기면 누적되어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한다. 3. 발달단계 주요과업(Newman) ➀영아기(0~2세) : 신체적 성장, 사회적 애착 성립 ➁걸음마기(2~4세) : 언어발달(상징놀이) ➂아동기.. 2021. 7. 20.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Sigmund FREUD 1856~1939.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에 의해 탄생된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가장 뛰어난 이론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 정신분석이론이 세상에 나온 후 100여 년에 걸쳐 많은 학자들에 의해 변천과 수정이 가해졌으나 프로이 트가 만들어 놓은 기본가설은 오늘날의 정신보건 영역에서 매우 중요 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가설에는 정신결정론(psychic determinism), 역동적 무의식(dynamic unconsious), 심리성적 발달단계(psychosexual developmental stage)의 중요성 등이 있다(대한신경정신의학외, 1998: 98) . 정신결정론 - 인간의 기본적 성격구조를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결과물로 보며, 이.. 2021. 7. 19.
[사회복지정책론] #6장, 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사회복지사 1급 필기시험 요약! 1. 사회복지정책의 발전단계 단계 대상자 대상욕구 주요 제도 경제와의 관계 구빈법 걸인, 부랑자 최소한의 생존 시설 및 거택보호, 공공부조 사회문제를 경제와 무관한 것으로 인식 사회보험 노동자계급 사회적 위험에 최소한 지원 사회보험, 공중보건, 교육, 주택복지 경제에 종속/잔여적 복지정책 복지국가 시민, 개인 국민최저 이상 확대된 사회보장을 위한 사회경제정책 경제와 대등한 파트너 관계 2. 구빈법 시대 가. 구빈법의 시작 1) 영국은 1348-1349년에 발생한 흑사병으로 노동자규제법을 제정 2) 노동자규제법은 1388년의 구빈법(the Poor Law)으로 구체화 3) 1531년 걸인․부랑자 처벌법 4) 1536년에는 교구에게 금전을 모금할 수 있는 권한, 즉 구빈세 징수권을 부여 5) 1547년 걸인.. 2021. 7. 15.
<신뢰도와 타당도 개념과 종류> 신뢰도 : 측정에서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의미 신뢰도를 통계적인 용어로 설명해본다면, 신뢰도를 높이 갖는 측정도구는 특정한 구성이나 개념을 측정함에 있어, Measurement error(측정오류) 이적은 observed score(관찰값)을 도출하게 된다.. 여기서 Measurement error는 측정 대상에 대한 true score(참값) 과 측정 대상의 관찰값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다. 참값은 측정에서 오류가 없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댓값이고, 관찰 값이란 측정도구를 통하여 실제로 측정된 값이다. 관찰값 = 참값 + 측정 오류 신뢰도 측정방법 1. 검사-재검사법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대상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에 걸쳐 실시했을 때 두 번 실시한 시험 점수가 일치되.. 2021. 7. 1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