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정보/복지용어

[6/30]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가족진단,가족치료,가족폭력,가족해체,가출)

by Nanum.E 2021. 6. 30.
728x90
반응형
SMALL

1. 가족진단 / family diagnosis

개인과 가족을 분리해서 보지 않고 하나의 단위로 보며, 전체로서의 가족을 중시하면서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개인의 성격과 사회부적응 문제는 가족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하는 정신의학적 임상경험에 기초하여 개인의 문제를 그 개인이 속해있는 가족을 이해 함으로써 개인을 치료하는 가족복지의 방법이다.

 

 

 

 

2. 가족치료 / family therapy

가족 내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문제가 표면상으로는 특정 가족성원의 행동상의 문제로 나타나지만 이것은 가족 전체의 문제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가족에 관한 견해는 가족이 가족성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가장 적절한 기능을 하는 것과 동시에 가족은 개인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 장소이며 가족원 들이 상호 간에 치료자가 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가족은 개인과 가족에게 문제를 제공하기도 하고, 문제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가족 치료적관점에서는 가족문제를 가족구조, 가족기능, 가족역사, 가족생활주기, 의사소통 형태,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체계 등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가족치료의 서비스 대상은 가족전체가 되며, 가족치료에는 한 가족원 또는 관련된 가족 성원들, 그리고 전체 가족이 필요한 계획에 따라 참여하기도 한다.

 

 

 

 

3. 가족폭력 / family violence

상해, 굴욕, 때로는 죽음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가족구성원들 사이의 공격적이고 적대적 행동.

이들 행동은 육체적 학대, 강간, 기물파손, 인간의 기본적욕구의 박탈 등을 포함한다.

 

 

 

 

4. 가족해체 / family disorganization

가족집단이 이혼, 가출, 유기 등에 의해 가족 구성원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가족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가족해체는 넓게는 결속감, 소속감, 충성심, 합의, 가족단위의 정상적 기능 등의 파괴를 의미하고, 협의로는 별거, 이혼, 유기, 사망 등으로 갈등 혼인 관계가 파괴되거나 또는 부부 가운데 한 사람이 장기간 혹은 영구적으로 부재하여 결손가족이 됨으로써 가족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불안 정하거나 불완전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5. 가출 / run away from home

미성년자인 청소년이 부모나 보호자의 승인없이 거주지를 이탈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가출은 비행과 직결된다는 데 문제가 있다.

가출의 원인은 심리적 발달상의 특징으로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인 부모의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경향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