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화 / reinforcement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에서 반응의 경향을 반복하도록 강화시키는 절차. 마틴 선델 Martin Sundel과 샌드라 스톤 선델 Sandra Stone Sundel(Behavior Modification in the Human Services,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에 의하면, 만약 강화제가 행동에 따라 주어지면, 그 행동을 반복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마약 어떤 반응의 수행이 혐오스러운 것을 제거해 준다면 그 행동도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가족정책 / family policy
가족정책은 가족제도, 가족문제를 전체사회의 제도 및 구조와 관련하여 파악하고 국가가 개입하는 사회정책을 의미한다.
가족정책은 가족기능의 사회적 의미,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개인과 가족문제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개입증가, 모든 사회제도와의 상호의존적인 관계 등에 관한 가치를 근거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정책은 가족구성원의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사회제도가 되며 이것은 현대가족의 사회적 기능을 유지, 보완, 대치 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더 확대하면 가족정책이란 정부가 가족에게 그리고 가족을 위하여 실시하는 모든 활동을 말하는데 그 활동은 각 사회, 경제, 정치, 도덕적 가치 등에 따라 대상, 분야, 내용, 정도가 다르고 다양하다.
유럽의 가족정책은 첫째로 대가족을 위한 소득 재분배 정책의 일환으로 가족수당, 소득세정책 등이 실시되었고, 둘째로 인구정책과 장기적 인구계획에 대한 관심에서 실시되었으며, 셋째로 고아, 장애아, 빈곤자, 무주택자와 같은 피부양자와 가족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수행이 부적절한 가족성원 에게 지원적, 보조적, 대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정책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정책은 산업사회에 있어서 사회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개념 인데 특히 영국, 미국, 캐나다에서 볼 수 있는 보완적 정책이다.
최근에는 가족정책의 관심이 아동, 부녀 및 노인에게 확대되고 있다.
3. 가족제도
광의로는 가족생활에 관한 사회규범의 체계 즉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혈족단 및 가족단체를 규율하는 법적제도를 의미하여 협의로는 민법 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가부장제 가족의 유지를 위한 법적˙사회적제도를 말한다.
4. 가족주의 / familism
사회 구성원의 주관심사가 가족집단의 유지에 국한되어 모든 가치가 이를 중심으로 결정되는 가족 이기주의.
이 가족주의 속에서 는 개인이 가족에 종속되고, 권위주의와 사회생활의 모델이 되고, 가족외의 지속적인 집단 형성은 어렵다.
이러한 가족주의는 급변하는 공업화 사회에 문제점이 되고 있다.
5. 가족중심케이스워크 / family centered casework
신경증, 비행, 정서장애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가족의 전체 구조나 상호 작용의 개선을 목적으로하는 케이스워크의 한가지 방법이다.
문제를 지니고있는 클라이언트도 가족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가족에초점을 둔 원조가 유효하며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사회복지 정보 > 복지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가치법칙,간질,간호사,갈등,갈등이론,강제적 성도착장애) (0) | 2021.07.01 |
---|---|
[6/30]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가족진단,가족치료,가족폭력,가족해체,가출) (0) | 2021.06.30 |
[6/27]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가족수당,가족역동성,가족역할,강화계획,가족요법,가족저항) (0) | 2021.06.27 |
[6/26]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가족복지,가족복지기관,가족복지시설,가족부양,가족생활주기) (0) | 2021.06.26 |
[6/25] 오늘의 복지용어 알아보기! (개방성,가족력,가족면접,가족법,가족병리) (0) | 2021.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