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사례관리 모델
Moor 모델
할당모형 : 자원이 불충분, 통합수준 높을 때 – 배분(효율정 할당)
마케팅모형 : 자원이 충분하고 통합수준 높을 대 - 연계(욕구에 맞는 서비스)
중개모형 : 자원이 충분하나 통합수준 낮을 때 - 중개
개발모형 : 자원도 통합수준도 모두 낮은 수준 - 자원개발, 조정
황성철의 한국적 사례관리 모델
단순형 | 기본형 | 종합형 | 전문관리형 | |
사례관리의 근본 목적 |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 연계 |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 연계,기초상담,조언 | 지역사회외 자원과 서비스 연계, 심층상담,치료 | 직접적, 간접적 서비스 제공,서비스 관리 |
사례관리의 기능 | 욕구인식 및 사정 사례계획과 서비스 연계, 서비스 점검 | 적극적 사례ㅏㄹ굴, 사정, 사례계획,개입, 서비스 연계, 상담, 점검 | Rothman의 15개 기능 수행 | 기본적 사례관리, 자원배분, 통솔, 의사결정 |
사례관리자의 교육 및 전문성 | 자원과 서비스 중개자 | 중개자, 상담자, 교육자, 지지자, 서비스점검자 | 자원과 서비스 중개, 상담,치료,교육,클라이언트 옹호 | 연계자,상담자,치료자,교육자,관리자 |
사례관리자의 교육 및 전문성 | 준전문가, 비전문가 | 준전문가, 전문가 | 전문가(경험풍부한) | 특수 분야별 전문가 |
조직 내 사례관리자의 위치 | 기존의 조직과 업무수행부서에서 수행, 엄격한 수퍼비전 | 기존의 조직 내에서 수행, 경험 많은 전문가 수퍼비전 | 독립된 사례관리 부서, 최소한의 수퍼비전 | 독립된 팀 형성, 수퍼비전 필요없음 |
사례관리자의 담당 사례수 | 비교적 많음 | 적절한사례(30내외) | 비교적 적은 사례(10~30) | 최소한의 사례(10 미만) |
개별/팀 접근 | 팀접근이 가능, 그러나 주로 개별적 접근 | 개별적 접근 | 개별적 접근 | 팀 형성에 의한 접근 |
사례관리자의 업무에 관한 자율성 및 권위의 정도 | 자율적인 결정권이 없음, 전문가와 협의 | 어느정도의 자율성 보장 |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보장 | 본문분야별 자율성 보장, 공동결정 요망 |
권진숙의 한국형 사례관리 모델
사례팀
- 사례팀은 기본적으로 사례관리자와 슈퍼바이저로 구성
- 사례팀은 직접서비스와 간접서비스 전체를 인테이크부터 종결까지 총괄 책임
- 사례관리자의 역할은 임상가 또는 치료자, 또는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초점
- 사례팀에게 슈퍼비전은 필수
- 반두시 주 1회정도는 제공, 위기 시 언제라도 슈퍼비전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
- 사례관리자와 슈퍼바이저 둘만의 관계에서 사례가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 임상 자문 필요
관리팀
- 팀장은 기관장 혹은 슈퍼바이저가 담당
-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
- 사례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기록하고 보고
- 정기적으로 관리팀에 보고하는 책임을 짐
- 관리팀은 사례관리자를 제외한 10명 내외로 구성
- 한달에 한번 모임을 갖고 자원과 관련된 논의와 지원
- 2-3개 기관이 한개의 관리팀을 운영하거나 지역사회에 한개 팀을 구성하여 운영가능
관리팀 구성원
- 임상전문가 : 클라이언트의 주 문제와 관계에 따라 결정
- 가정폭력 사레의 경우 : 의사, 경찰, 쉼터 소장 등
- 의사의 경우 : 가능한 그 지역에 있는 종합병원과 협력관계를 체결하여 매월 사례평가 및 지원팀에 참석하도록 협조 요청
- 임상심리사, 지역사회보건간호사, 시설장 등이 포함
- 지역사회전문가 : 지자체 공무원,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교사, 성직자 등
728x90
반응형
LIST
'사회복지사 1급 > 사례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소통능력의 개념 및 중요성 (2) | 2021.08.13 |
---|---|
직업재활 사례관리 특징 및 실천과정 (0) | 2021.06.14 |
사례관리 정의 및 구성요소 (0) | 2021.06.11 |
사례관리의 정의 및 다른나라의 발전 동향 (4) | 2021.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