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1급/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론] #6장, 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사회복지사 1급 필기시험 요약!

by Nanum.E 2021. 7. 15.
728x90
반응형
SMALL

 

 

1.  사회복지정책의 발전단계

단계 대상자 대상욕구 주요 제도 경제와의 관계
구빈법 걸인, 부랑자 최소한의 생존 시설 및 거택보호, 공공부조 사회문제를 경제와 무관한 것으로 인식
사회보험 노동자계급 사회적 위험에
최소한 지원
사회보험, 공중보건, 교육, 주택복지 경제에 종속/잔여적 복지정책
복지국가 시민, 개인 국민최저 이상 확대된 사회보장을 위한 사회경제정책 경제와 대등한 파트너 관계

 

 

2. 구빈법 시대

. 구빈법의 시작

1) 영국은 1348-1349년에 발생한 흑사병으로 노동자규제법을 제정

2) 노동자규제법은 1388년의 구빈법(the Poor Law)으로 구체화

3) 1531년 걸인부랑자 처벌법

4) 1536년에는 교구에게 금전을 모금할 수 있는 권한, 구빈세 징수권을 부여

5) 1547년 걸인을 농노로 만드는 법을 제정

6) 1572년 노동력이 있는 자가 노동을 거부하면 노예로 삼는 법 제정

 

 

.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

- 최초로 국가가 개입해서 구빈대책을 마련하려 하였다는 점에 의의

- 빈민을 위한 법이라기보다 빈민을 다스리는 강제성이 동반된 법

 

 

. 정주법(1662)

- 모든 개인들은 법적으로 정해진 지역(legal settlement)내에서만 거주

- 타 지역에서 들어 온 이주민들은 원칙적으로 법적 거주지역으로 귀환

 

 

. 작업장법과 작업장심사법(1722)

- 근로능력이 있는 빈민들의 노동력을 최대한 이용

- 구빈재정도 축소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

 

 

. 길버트법(Gilbert Act, 1782)스핀햄랜드제도(Speenhamland System, 1795)

- 길버트법은 원외구호를 허용하고 여러 교구가 연합체를 만들어 구빈세의 징수와 지출 담당.

- 스핀햄랜드제도는 최저생계비를 정하여 빈민들에게 최저생계비를 보장

 

 

. 신구빈법(the New Poor Law, 1834)

- 스핀햄랜드제도에 대한 반발로 제정

- 주요 내용은 열등처우의 원칙, 작업장 입소자격조사, 행정의 중앙집권화와 통일

 

 

 

3. 사회보험 시대

. 독일

- 질병보험(1883), 재해보험(1884), 노령폐질보험(1889)의 세 가지 사회보험제도 실시

- 모두가 비정규직 및 여성 노동자를 제외

- 급여수준이 낮고 수급조건이 까다로운 등의 한계를 지님

 

. 영국

- 1911년 국민보험법은 질병과 실업문제에 대하여 보험원칙을 도입

- 국민최저수준을 제공하여 노동당을 비롯한 페이비언 사회주의로의 진전을 막는 장치로 설정

 

. 미국

- 1929년에 촉발된 대공황으로 심각한 경제위기가 지속

- 1933, 대통령에 취임한 루스벨트는 이른바 제1차 뉴딜이라고 불린 일련의 위기극복 과정에서 1935사회보장법 제정

 

 

4. 복지국가 시대의 시작

.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노동자계급과 함께 시민계급의 힘이 강성

 

. 복지국가는 사회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시장의 불평등과 불안정성에 대항하여 사회적 연대와 소득과 부의 평등, 사회적 위험에 대한 공동체의 보장을 촉구

 

. 복지를 자비나 은전이 아닌 시민의 권리(citizenship)로 인정

 

. 2차 세계대전 후의 세계적인 호황(자본축적)과 시민계급의 정치적 성장에 힘입어 꾸준히 확대·발전 사회문제의 해결보다는 욕구(needs)의 충족을 중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